해미읍성

최근 편집일시 : (♥ 0)

||
⠀[1~100호]⠀
⠀[101~200호]⠀
⠀[201~300호]⠀

1.#254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1.#256 서울 정동교회
1. 서울 운현궁
1. 서울 명동성당
1.#260 안동 병산서원
1.#262 대구 불로동 고분군
1.#264 단양 온달산성
1. 단양 적성
1.#267 서울 암사동 유적
1. 연천 전곡리 유적
1.#270 서울 방이동 고분군
1. 경희궁지
1. 남원 만인의총
1. 부산 복천동 고분군
1.#275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1. 구 서울대학교 본관
1.#280 한국은행 본관
1.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1.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1.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1. 구 서울역사
1.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 인천 답동성당
1. 전주 전동성당
1. 구 목포 일본영사관
1. 대구 계산동성당
1. 창원 진해우체국
1.#297 서울 몽촌토성

⠀[301~400호]⠀
⠀[401~500호]⠀
⠀[501호~]⠀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 2023~2024 ] 

수도권

[ 2021~2022 ] 

수도권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문화지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강원권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수도권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강원권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주요 관광지 ]
동문1동옥녀봉
동문2동남양여관 (원도심기록보관소) | 서산동부전통시장
부춘동서산중앙호수공원
대산읍웅도 | 오지리 갯벌 | 벌천포해수욕장
지곡면서산창작예술촌
음암면정순왕후 생가
운산면유기방가옥 | 보원사지 | 고풍저수지 | 국립용현자연휴양림 | 용현계곡 | 서산 마애삼존불상 | 개심사
해미면해미순교성지 | 해미천 벚꽃거리
고북면서산국화축제 | 천장사
인지면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 맹꽁이도서관
부석면부석사 | 서산버드랜드 | 천수만철새도래지
[ 서산시의 축제 ]
해미벚꽃축제 (4월) | 류방택별축제 (5월)
여름팔봉산감자축제 (6월) | 지곡왕산포 서산갯마을축제 (6월) | 서산6쪽마늘축제 (7월) | 삼길포우럭축제 (8월)
가을서산어리굴젓축제 (9월) | 서산해미읍성축제 (10월) | 서산국화축제 (11월) | 뻘낙지먹물축제 (11월)



파일:해미읍성 진남문.jpg
해미읍성의 관문인 진남문(鎭南門)이며, 대부분 이 문으로 출입한다.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16호
서산 해미읍성
瑞山 海美邑城
Haemieupseong Walled Town, Seosan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남문2로 143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면적196,381㎡
지정연도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조선 성종 22년(1491년)
위치



1. 개요
2. 교통
2.1. 자가용
2.2. 대중교통
2.2.2. 시내·농어촌버스
3. 여담



1. 개요[편집]


海美邑城.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소재한 구 해미군읍성.

고창읍성, 낙안읍성과 함께 현재에도 원형이 잘 남아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의 읍성으로 사적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서산을 상징하는 관광지이자 랜드마크이며 서산 9경의 1경으로 지정되어 있다.

해미읍성은 1417년(태종 17년)에 축성을 시작하여 1414년(태종 14년) 충청병마절도사영이 덕산(德山)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1421년(세종 3년)에 완성되었다.

파일:external/mini-files.thinkpool.com/%ED%9A%8C%ED%99%94%EB%82%98%EB%AC%B4.jpg
한국 천주교 3대 성지[1]이기도 하며, 천주교 대전교구 관할이다. 박해 시기에 1,000여 명의 천주교 신자들이 잡혀와 고문당하고 순교한 곳인데, 하도 많은 사람들이 잡힌 까닭에 감옥도 모자라서 감옥 앞의 사진 속 회화나무에서 집행했다고 한다. 지역에서는 '호야나무'라고 불리우는 그 회화나무에는 철사를 맨 흔적이 남아있다.


2. 교통[편집]


문화재 바로 옆에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바로 근처에 시내·시외버스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자가용, 대중교통 둘 다 접근성이 매우 우수하다. 해미읍성을 방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 자가용[편집]



2.2. 대중교통[편집]



2.2.1. 시외버스[편집]



2.2.2. 시내·농어촌버스[편집]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3:42:33에 나무위키 해미읍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절두산 성지', '해미읍성', '솔뫼성지'를 말한다. 하지만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며 확정된 것은 없다.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에 따르면 남한에만 167곳의 성지가 있다.# [2] 해당 농어촌버스는 하루에 단 한 번만 운행하는 노선이여서 이를 이용해 해미읍성 방문은 권장하지 않아 홍성에서 오갈 때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3] 해미순교성지, 국내 2번째-亞 3번째 국제성지 지정, 2021-03-15, 동아일보